See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on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속담",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roverb", "pos_title": "속담", "senses": [ { "examples": [ { "text": "자다" }, { "text": "봉창" }, { "text": "두드리다" } ], "glosses": [ "봉창(封窓)은 토담집 같은 가옥 구조에서 흙벽을 조그맣게 뚫어 창틀을 대지 않고 그냥 창호지를 발라 붙인 일종의 통풍을 위한 혹은 채광을 위한 창이다. 이렇게 만든 창은 당연히 열고 닫는 창이 아니다.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예전에 바람을 피우던 남녀는 밀회를 위해 상대방의 봉창을 두드려 \"비밀신호\"를 한 것 같다. 그런데 이런 일에 정신이 팔린 사람이 하루는 자다가 갑자기 일어나 자기 방의 봉창을 두드리는 웃지 못할 짓을 한 것이다. 이처럼 남이 이해할 수 없는 말이나 일을 불현듯 한다는 속뜻이 이 속담에 담겨 있다." ], "id": "ko-자다가_봉창_두드린다-ko-proverb-RLZM94uz" } ], "sounds": [ { "ipa": "ca.da.ga.boŋ.cʰaŋ.du.dɨ.rin.da" } ], "word":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
{ "categories": [ "한국어 속담"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roverb", "pos_title": "속담", "senses": [ { "examples": [ { "text": "자다" }, { "text": "봉창" }, { "text": "두드리다" } ], "glosses": [ "봉창(封窓)은 토담집 같은 가옥 구조에서 흙벽을 조그맣게 뚫어 창틀을 대지 않고 그냥 창호지를 발라 붙인 일종의 통풍을 위한 혹은 채광을 위한 창이다. 이렇게 만든 창은 당연히 열고 닫는 창이 아니다.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예전에 바람을 피우던 남녀는 밀회를 위해 상대방의 봉창을 두드려 \"비밀신호\"를 한 것 같다. 그런데 이런 일에 정신이 팔린 사람이 하루는 자다가 갑자기 일어나 자기 방의 봉창을 두드리는 웃지 못할 짓을 한 것이다. 이처럼 남이 이해할 수 없는 말이나 일을 불현듯 한다는 속뜻이 이 속담에 담겨 있다." ] } ], "sounds": [ { "ipa": "ca.da.ga.boŋ.cʰaŋ.du.dɨ.rin.da" } ], "word":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자다가 봉창 두드린다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1.0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7-19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7-02 using wiktextract (45c4a21 and f1c2b61).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